에 의해서 크리스쿙 | 3월 19, 2025
<만일 그대가 노래를 안다면>
노래는 지도이며 방향탐지기이다.
만일 그대가 노래를 안다면
그대는 언제 어느 곳에 있든지
그대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작품은 판소리의 구술 전통을 통해 노래의 의미를 환기하는 데서 출발한다.
판소리는 창자의 소리 네트워킹을 통해 청자들이 이야기의 공간에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적 공간술(맵핑)이다.
노래는 부르는 이의 개인적인 발자취와 여정을 담은 음향적 기록으로, 리듬과 멜로디가 더해져 단순한 정보(말) 전달을 넘어 강렬한 기억을 전달한다.
노래를 통해 되살아난 기억은 이야기가 되어 듣는 이를 특별한 장소로 이끈다.
<만일 그대가 노래를 안다면>은 녹음기도 핸드폰도 없던 시절의 소리꾼을 상상하며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으로 판을 연다.
소리 채집과 발효, 이를 재료화하는 과정을 추적하며, 공간을 사유하는 방식과 목소리(몸)로 이를 그려내는 방법을 5개의 단편으로 풀어낸다.
눈을 감고 천천히 귀를 열어 날것의, 비밀스러운 소리 길을 여행해보길 권한다.
가로지르는 노래가 들린다면, 언제 어디서든 당신이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을 것이다.
·
2024청년예술가도약지원사업 선정작
#만일그대가노래를안다면
🧭2024년 11월 29일 금요일 19:30
🧭서울무용센터 블랙스튜디오
🧭전석 무료
🔗상단 예매링크 | https://forms.gle/6RppSfYBtsnffgT6A
컨셉, 소리 | 노은실 @eunsil_noh_
공동창작, 출연 | 김보라 @bora_kim_in
노은실 @eunsil_noh_
박진영 @jinjinyouu
송유경 @chriskyong
정언진 @jungjinun
허소연 @sy_huh
사운드아트 | Tom Jacques @t.o.m.j.a.c.q.u.e.s
조명감독 | 윤혜린 @vertigosalmon
촬영감독 | 정길우
기획PD | 김이끼 @ikki._.kim
포스터 디자인 | 사슴스튜디오 @deer_studio_in
에 의해서 크리스쿙 | 3월 19, 2025

소리로서 그 시간이 들려질 때 사운드공연
김영경, 깃발옆차기, 박소현이, 박심정훈, 송유경, 윤정, 이다영, 이주단, 최인영
🦉 일시 : 2025년 3월 8일 (토)
1부 : 17시 (입장. 16시 40분)
2부 : 19시 30분 (입장. 19시 10분)
🦉 장소 : 장소 : 우루루 (홍제천로6길 33, 2층)
🦉 TICKET : 10,000~15,000원
신청링크: https://data.dddug.in/apps/forms/n93mQ3Ri3wgzW7i3
1부: 박심정훈, 박소현이, 송유경, 윤정, 김영경 (17:00~18:50)
인터미션: (18:50~19:30)
2부: 이다영, 이주단, 깃발옆차기, 최인영 (19:30~21:10)
————————————–
『소리로서 그 시간이 들려질 때』
흐르는 몸에 쌓이는 시간 사이로 발 없는 소리가 다가온다.
소리는 스스로 걸을 수 없다. 발 없는 소리는 매질을 거쳐야만 전해질 수 있다. 진공상태에서 소리가 존재할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소리가 있다는 – 들을 수 있다는 건, 곧 말하는 얼굴과 말이 향하는 얼굴 사이의 매질을 암시한다. 물질의 떨림이 진동을 통해 마이크, 스피커, 귓바퀴를 거쳐 고막에 새로운 파동을 만들 때, 비로소 그 떨림이 몸에 들어온다. 소리를 재현하는 시도들은 이처럼 거듭된 번역을 거친다.
『소리로서 그 시간이 들려질 때』 는 공연자들 (김영경, 깃발 옆차기, 박소현이, 박심정훈, 송유경, 윤정, 이다영, 이주단, 최인영)이 한데 모여 서로의 소리를 들을 때, 우리가 마주할 소리는 무엇일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다. 서로 다른 작업적 배경을 가진 공연자들의 작업을 관통하는 태도가 있다면, 이들이 시간의 여러 층위를 소리로서 재현한다는 거다.
시간이 소리로서 들려질 때 각각의 공연자와 관객은 다른 매체(몸)을 경유한 다른 소리를 듣는다. 저마다의 귓바퀴가 다른 탓에 우린 과연 같은 소리를 듣는게 아니다. 서로의 이야기를 마주하며 끝까지 들어가도 그 끝에 만나는 건 타인이 아닌, 결코 동화될 수 없는 ‘나’, 곧 몸에 새겨지는 ‘나의 시간’이다. 그 시간은 타인의 시선과 말과 소리로 현재와 연결되며,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만들어지고 그것이 곧 내가 된다.
만남 없이 존재할 수 없는 나, 시간의 통시성은 곧 발 없는 소리와 기대어 있다. 공연자와 관객은 얼굴을 마주한다. 마주 본 얼굴은 응답을 기대한다. 서로의 몸은 소리로, 침묵으로, 몸 그 자체로 응답을 건네온다. 서로 주고 받는 이 상호 관계가 공연의 시간, 곧 현장성이 된다. 임의의 시작과 끝이 있는 공연은, 몸의 시간과 평행선으로 나란히 이어지는 현장의 시간을 만든다. 이곳에서 우린, 함께 그 시간을 목도한다. 이제 이 소리는 내 안에서 나온 것이 아닌 외부의 것이 들어온 것도 아닌, 뒤섞이며 재편집 된 기억이다.
우린 비로소, 여기서, 아주 나인 나도, 아주 남인 타인도 없음을 맞이하게 된다.
공연자 | 김영경, 깃발옆차기, 박소현이, 박심정훈, 송유경, 윤정, 이다영, 이주단, 최인영
글 | 박소현이
이미지 | 김영경
기록 | 박소현이, 송유경
기술지원 | 원정
기획 | 원정, 박소현이, 김영경
에 의해서 크리스쿙 | 3월 28, 2024


<골든 에이지>, 2023, 단채널 영상, 컬러, 사운드, 3분 20초
The golden age, 2023,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3min 20sec
크레딧
연출 및 감독: 임은정
안무: 임은정
퍼포먼스: 김현진, 송유경, 정나원, 주혜영, 임은정
영상: 김창구
음악: 김기정
자문: 황희승
작품 설명
임은정은 노인을 위한 율동, 춤 비디오를 만들어 어플과 웹을 통해 배포할 예정이다. 영상에 등장하는 동작은 총 10개로, 노인들을 위한 스트레칭, 근력 강화, 치매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동작을 리서치하여 만들어낸 것이다. 각각은 아침용, 점심용, 저녁용 나뉘고 ‘오전_띡똑‘, ‘오후_가슴 쿵쾅’, ‘저녁_주먹탑 쌓기‘ 등 이를 설명하는 부제가 붙는다. 개별 동작은 아바타의 안드로이드 버전 어플 <실버벨>(2024)에서 배워볼 수 있다. 작가는 노인들이 사용하기 간편하도록 고안된 체조 어플에서 각 동작을 통해 운동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골든 에이지>의 춤을 출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에 의해서 크리스쿙 | 10월 27, 2023
임은정, <우리세계>, 단채널, 12분, 2023
기획 및 안무 Director & Choreography :
임은정 Eunjoung Im
드라마터그 & 프로덕션 매니징 Dramaturg & Production managing :
윤재희 Jaehee Yoon
퍼포먼스 Performance :
김현진, 송유경, 정언진, 조선아, 조주혜
Hyunjin Kim, Youkyong Song, Eonjin Jeong, Seonah Jo, Juhye Cho
영상 Film :
김창구 Changgu Kim
음악 Sound Design :
김기정 KeeJeong Kim
| Narrative Crew |
연출 Director :
김창구 Changgu Kim
조연출 A.D :
유채정 Chae Yu
촬영 D.O.P :
공원준 WonJun Kong
촬영팀 Camera Crew :
이찬열 Chanyeol Lee / Focus puller
김하영 Hayeong Kim
임예준 Yejun Lim
음악 Sound design :
김기정 KeeJeong Kim
편집, 색보정 Editing, Coloring :
김창구 Changgu Kim
주최/주관 Organization :
자문밖아트레지던시
후원 Support :
한국문화예술 위원회
에 의해서 크리스쿙 | 10월 27, 2023

임은정 <쌀 더미 Lump of Rice>
@imeunjoung
@jungjinun @zoohuei @ynjae
몸이 솟아오르고 흘러내린다. 주변의 것과 엉킨다. 기다랗고 통통하고 짧고 작은 덩어리들이 쌓여있다. 그 사이사이 검은 머리가 놓여있다. 아주 작은 진동이 발생한다. 우리가 진동을 알아차릴 즈음 움직임의 원천은 이미 다른 곳을 향하고 있다. 움직임이 남긴 흔적만이 자리한다. <쌀 더미 Lump of Rice>는 움직임 주변에 남게 되는 잔여물에 주목한다. 신체를 추적하지 않고, 더미가 만들어내는 풍경에 둘러싸이기를 제안한다.
공연 Performance |
일시 : 2023 9.1 – 2, 8:30pm
장소 : 자문밖아트레지던시 JAMUNBAK ART RESIDENCY (서울시 종로구 평창31길5, 팔각정)
기획 및 안무 Director & Choreography : 임은정 Eunjoung Im
드라마터그 Dramaturg : 윤재희 Jaehee Yoon
텍스트 Text : 윤재희, 임은정, Jaehee Yoon, Eunjoung Im
퍼포먼스 Performance : 송유경, 정언진, 조주혜 Youkyong Song, Eonjin Jeong, Juhye Cho
기록영상 Video : 김창구 Changgu Kim
그래픽 디자인 Graphic design : 이동현 Donghyun Lee
협력 Associator : 최유환 Hwan
자문 Advisor : 강안나 Anna Kang
도움 주신 분들 Special thanks to : 명지혜, 박소희, 박유라, 이신후, 정채민, 조경재, 채동혁
jihye Myeong, SOHEE PARK, YURA PARK, shinhoo yhi, Chaemin Jeong, Kyoung Jae Cho, Chae Dong Hyeok
후원 Support : 한국문화예술 위원회
공간 지원 Venue support : 자문밖아트레지던시
전시 Exhibition |
일시 : 2023 9.5 – 10
장소 : 북촌전시실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5길 48)
기획 및 안무 Director & Choreography : 임은정 Eunjoung Im
드라마터그 & 프로덕션 매니징 Dramaturg & Production managing : 윤재희 Jaehee Yoon
퍼포먼스 Performance : 김현진, 송유경, 정언진, 조선아, 조주혜 Hyunjin Kim, Youkyong Song, Eonjin Jeong, Seonah Jo, Juhye Cho
영상 Film : 김창구 Changgu Kim
음악 Sound design : 김기정 KeeJeong Kim
그래픽 디자인 Graphic design : 이동현 Donghyun Lee
| Narrative Crew |
연출 Director : 김창구 Changgu Kim
조연출 A.D : 유채정 Chae Yu
촬영 D.O.P : 공원준 WonJun Kong
촬영팀 Camera Crew :
이찬열 Chanyeol Lee / Focus puller
김하영 Hayeong Kim
임예준 Yejun Lim
음악 Sound design : 김기정 KeeJeong Kim
편집, 색보정 Editing, Coloring: 김창구 Changgu Kim
주최/주관 Organization : 자문밖아트레지던시
후원 Support : 한국문화예술 위원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