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일상에 대한 낯선 번역

2018 일상에 대한 낯선 번역

일상에 대한 낯선 번역

 

후니다 킴 작가

2018.6.18 – 8.11 <일상에 대한 낯선 번역> 후니다 킴 | 퍼포머 참여 | 페리지
http://www.perigee.co.kr/gallery/exhibitions/view/2018/143

https://hoonida.com/portfolio/work10/ 

 

 

Space Composition performance#2, “Familiarity·Cumulating·Melting–Unfamiliar Translation of Everyday Life” Perigee Gallery, seoul, 2018

<거기에 있음을 넘어서서> 신승오(페리지갤러리 디렉터)

후니다 킴의 작업은 인간과 기계, 원본과 복사본, 시각과 청각, 공연과 인터랙티브, 실제와 재현에 대한 이야기들이 서로를 가로지르며 뒤섞여 있다.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소리로 일반적으로 자신의 주변에서 듣게 되는 일상의 소리를 담아낸다. 또 다른 요소는 장치들이다. 소리를 담아낸다는 것은 어떤 물건 속에 있다는 말인데, 그가 소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녹음, 편집 그리고 다시 내보내기 위한 장치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 요소는 이를 단순하게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퍼포먼스와 관객들이 직접 실행하는 인터랙티브적 전시로 나타나는 수행적 작업이라는 점이다. 그렇다면 이번 <익숙함이· 쌓이고· 녹아내리는-일상에 대한 낯선 번역> 전시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자.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의 요소들 중 먼저 다룰 것은 소리이다. 소리는 후니다 킴 작업의 시작점이자 그의 작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가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대상은 일상적인 소리로서의 배경음이다. 요즘은 도시에서건 시골에서건 모든 방향에서 소리가 날아들어 혼선 상태가 되며 아주 평범한 소리조차도 귀를 기울여 집중해야 들린다. 이렇게 우리의 청각은 여러 가지 소리들에 대해서 쉽게 무감각해져 버려서, 따로 훈련하지 않으면 많은 소리들을 구분해 낼 수도 없고, 느끼지도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그는 우리가 평소에 집중해서 듣지 않는 혹은 들리지 않는 모든 배경음(개 짖는 소리, 기차가 지나가는 소리 전화벨 소리 등등)을 소음 혹은 잡음이라고 지칭한다. 따라서 소음을 이용하는 작업은 그 용어의 사용에서부터 그가 우리의 관심에서 멀어진 것을 다시 중심에 옮겨놓기 위해 소리를 사용한다고 오인하게 만든다. 그렇지만 그는 소음이었던 것을 집중해서 들으면서 다시 어떤 소리로 인식하고 그것의 원래 존재를 파악하기 위해 원본에 충실하거나 원형을 충분히 살려내기 위한 녹음을 한 것이 아니다. 후니다 킴은 물리적 “진동”인 배경음이 인식되는 순간과 그것이 기계에 의해서 녹음되어 “수(數)“로 형질 변환되는 디지털 코드화에 관심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그는 소리라는 데이터 채집을 통해 외형적으로 구분되지는 않지만 미세한 디테일의 재조합 가능성과 지금까지 듣지 못했던 방식으로 무엇인가 듣게 만드는 것을 연구한다. 따라서 그의 소음에는 움직임, 진동, 전류의 흐름 등이 담겨있어 원래라면 인식할 수 없는 소리도 감지할 수 있게 만든다. 그런데 이 디지털화된 소리는 자연의 소리를 담아내고 있지만, 그렇다고 그것을 복제한 것도 아니고 원래 소리의 원본도 아니다. 결국 작가가 주목하는 것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얻어지는 정보로 새롭게 가공되고 재창조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새로운 원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작업에서 사용하는 소리는 청각적인 감각을 통한 일반적인 정보가 아니라 소리의 진동을 느끼는 촉각, 소리가 연상되게 만드는 시각, 그리고 이후에 살펴볼 장치 등을 통해서 공감각적인 대상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를 통해 우리가 보편적으로 감각을 지각하는 방식의 전환을 유도한다.

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그의 디지털 코드 매체 번역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하는 <아파라투스apparatus>라는 소리 환경 장치이다. 이 장치는 그가 담아낸 소음을 다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번 전시에서 사용하는 <아파라투스>는 초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소리가 직선적으로 강력하게 나오지만 관객이 그 직선적인 범위에 들어오지 않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그런데 이것들을 이리저리 흔들면, 내가 위치한 공간과 그 공간 안에서 반사되는 각도의 관계성에 의해서 갑자기 소리가 들리거나 사라지는 공감각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또한 이 장치들은 음향 장치일 뿐만 아니라 이후에 살펴볼 퍼포먼스나 관객이 직접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인터랙티브적 전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오브제이기도 하다. 여기서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이 장치의 어원인데, 디바이스(Device)의 라틴어 어원인 아파라투스(Apparatus)는 기계, 장비 신체적 감각기관이라는 의미이다. 이렇게 작가가 또 다른 신체적 감각기관인 장치를 만들어 낸 것은 단순히 작가가 이야기하는 보이지 않는 물질성을 가지지 않은 소리로 공간을 채워내는 작업 그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추측하게 한다. 그러나 작가는 처음부터 그의 <아파라투스>를 오브제로서의 외형, 다시 말해 시각 기호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길 바라왔다. 하지만 그는 이 장치를 만들어 낼 때 외형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회로를 설계하고, 기계 속에 담겨 보이지도 않을 기판을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장치 자체를 철저하게 독창적인 것들로 만들어 낸다. 이런 것들로 미루어보아 그는 사실 기계가 이미 가지고 있는 시각적 구조 및 촉각적인 실체가 있는 감각적 특성들에 대해 관심이 있고, 이것이 사람들과 감각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본능적으로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작가 자신도 자각하지 못한 사이에 <아파라투스>는 생물학적 신체와 기계적인 것들의 접촉(사람들의 내부도 <아파라투스>처럼 복잡하지만 내용물이 감추어져 있다)을 시도하면서 장치와 생물학적 연결을 통한 새로운 감각적 확장을 인지할 수 있는 지점들로 조금씩 이동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결국 그가 이런 장치들을 통해 시도하는 청각적 이미지의 구현은 외부의 이미지를 내부로 끌어들이는 것만이 아니라 다시 내부의 이미지를 외부로 내보내는 방식이며, 이런 장치와 신체 사이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유발한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장치를 통해 재배열되는 인간의 신체적 감각과 이러한 감각들의 통합으로 채워지는 청각적 공간에는 고정된 초점이 없다. 결국 <아파라투스>는 특정한 관점으로 소리를 가둔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차원을 만들어 내는 디지털적인 매개체로서 우리와 접촉하면서 연결되는 오브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방랜드, 유방 속으로

유방랜드, 유방 속으로

임정서 작가

2018. 03.01~ 2018.03.07 <유방랜드, 유방 속으로> 임정서 작가,퍼포머 참여 | 인디아트홀 공

 

 

기획 | 연출 | 미술 | 영상: 임정서
음악: 구경모
안무: 유지영
조명: 서지혜
출연: 송유경, 유지영, 임정서, 허유미
커뮤니케이션: 임정규, 노수봉, 손소현
파티시에: 김다솜, 윤나성, 이다예, 염다운

​오프닝 특별 게스트: 김진아

«공연 일시»

2018년 3월 1일 – 3월 7일 (7일간)

평일: 저녁 8시 ///

공휴일, 주말: 3시, 5시, 7시

• 16세 이상 관람가 입니다.

• 공연은 약 60분간 진행되며, 공연 후 30분간 자율 관람시간이 있습니다.

• 공연 30분 전부터 입장 가능하며, 원활한 관람을 위해 10분전까지 꼭 도착해주시기 바랍니다.

«공연 장소»
서울 인디아트홀 공: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서로30길 30

www.gongcraft.net


지하철:
– 5호선 오목교 옆 양평역 2번 출구, 도보 6분
– 2호선 영등포구청역 1번 출구, 도보 13분
버스:
– 지성병원 하차 : 5 / 7612 
– 영등포 기계 상가 : 640 / 650 / 5012 / 5211 / 6625 / 6628 / 6629 / 6630 / 6640A
*주차 공간이 넉넉지 못합니다. 가능한 한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세요.
*유료유차장은 5호선 양평역 2번 출구 옆에 있습니다. ​
 주변 아파트를 이용하실 경우 1일 주차 요금을 내셔야 합니다.

 

https://www.jungsuhsuelim.com/youbangland

 

 

생체 실험실 2017

생체 실험실 2017

임정서 작가 기획

2017.02.06-2017.02.09 <생체실험실2017> 임정서 작가 작가참여 : 송유경은 1시간동안 네발로 돌아다니는 것을 할 것이다. | 퍼포먼스 | 공에도사가있다